사실 '눈물'을 흘린다고 알려진 동물 몇이 있긴 한데요.
악어도 있고, 바다거북도 있고, 코끼리도 있지만, 그들은 감정 때문에 '우는' 것이 아닙니다.
염분 배출 등의 이유로 울고 있는 것처럼 보일 뿐이죠.
그렇다면 개는 어떨까요. 이 개는, 인간과 더불어 진화한 동물이지요. 그래서 인간과 교감하는 능력이 매우 뛰어납니다.
그리고 일부 개들 중에서는 마치 인간처럼, 기뻐서 우는 개체도 있다고 하는군요. 정말 감동적인 일인데요.
소식 한번 보겠습니다.
다음 번에 오랜만에 집에 들어갈 일이 있을 때, 현관문 앞에서 꼬리를 흔들며 기다리고 있을 반려견에게 인사하며 눈에 눈물이 고이는지 한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개들은 다른 사람보다 주인과 다시 만났을 때 더 많은 눈물을 분비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비인간 동물 가운데 기쁜 감정을 눈물로 표현한다는 사실이 보고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기쿠시 다케후미 일본 아자부 대 교수 등 이 대학 연구진은 23일 과학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실린 논문에서 "비인간 동물에서 처음으로 긍정적인 감정이 눈물 분비를 촉진하며 그 과정을 옥시토신이 매개한다는 사실을 보고한다"고 밝혔습니다.
기쿠시 교수는 "6년 전 새끼를 낳은 반려견 푸들을 보고 이 연구를 하게 됐다"고 보도자료에서 명시했습니다. 새끼에 젖을 물린 개의 눈가가 유난히 촉촉했던 것입니다. 그때 "혹시 옥시토신이 눈물을 늘리는 건 아닐까?"란 아이디어가 퍼뜩 떠올랐다고 합니다.
옥시토신은 사랑과 유대를 일으키는 호르몬입니다.
그는 사람과 개가 만나면 둘 모두에서 옥시토신 분비가 늘어난다는 사실을 이전 연구에서 밝힌 바 있습니다. 연구자들은 재회가 옥시토신 분비를 이끌고 그 결과 눈물이 더 많이 분비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련의 실험을 했습니다.
먼저 개 스무 마리를 대상으로 셔머 검사를 했다고 합니다. 셔머 검사는 아래 눈꺼풀과 동공 사이에 긴 여과지를 끼워서 눈물이 여과지를 적시는 길이를 측정해 눈물 분비량을 검사합니다.
실험 결과 5~7시간 떨어진 주인과 다시 만났을 때 나오는 눈물량이 보호시설 직원과 만났을 때보다 훨씬 많았스빈다.
뒤이은 실험에서 옥시토신을 개 눈에 넣었을 때는, 호르몬을 넣지 않았을 때보다 훨씬 눈물이 많이 나왔습니다.
마지막 실험은 지원자 74명에게 5마리의 개 사진을 10장씩 보여주고 얼마나 유대 관계를 느끼고 돌봐 주고 싶은지 점수를 매기라는 것이었습니다.
그 결과 인공눈물을 넣어 눈망울이 촉촉해진 개 사진이 사람의 마음을 더 많이 끌었습니다.
기쿠시 교수는 "개는 사람과 동반자가 되어 깊은 유대를 형성했다"며 "이 과정에서 주인과 상호작용을 할 때 촉촉한 눈을 보이는 개가 주인으로부터 더 많은 돌봄을 받게 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것은 이른바 '인공 선택'인데요. 인간과 더 유대감을 갖는 개체를 인간이 더 선호하고, 그런 형질이 점점 진화했다는 것이죠.
연구자들은 개가 오랜 가축화 과정을 거치면서 주인의 돌봄을 끌어내는 일련의 행동을 진화시켰을 것으로 보았습니다. 눈을 적시는 행동은 주인과 눈 맞춤을 하거나 꼬리를 흔들거나 속눈썹을 들어 올리는 행동과 맥을 함께하는 행동이라는 얘기입니다.
그러나 개가 눈물로 감정을 표현한다고 단정하기는 아직 이르다고 합니다.
연구자들은 기쁠 때 말고도 슬플 때 눈물을 흘리는 인간과 달리 이번 연구에서는 개가 기쁜 상황에서만 눈물을 더 많이 흘린다는 일부 사실이 드러났을 뿐이라고 밝혔습니다.
기쿠시 교수는 "개가 슬플 때나 동료 개와 오랜만에 만났을 때도 눈물을 흘리는지는 아직 모르고 후속 연구과제"라고 말했습니다.
저는 이 넓은 지구 한구석에는 분명히 슬플 때도 눈물을 흘리는 개가 알게 모르게 많을 거라는 생각이 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