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에 보이는 이것, 사실은 광견병 예방약 이라고 합니다.
들개나 너구리 같은 야생 동물이 광견병에 걸리지 않게 하기 위해 뿌린 것이라고 하는데요.
혹시 어린 아이들이 만질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럼 소식 볼까요! 더불어 광견병이 무엇인지도 알아봅니다.
*다른 동물 관련 정보를 보고 싶으시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광견병 예방약
서울시는 사각 어묵 형태의 '야생동물 광견병 미끼 예방약'을 시 외곽 지역에 퍼뜨릴 계획이오며, 이를 발견하시더라도 만지지 않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서울시는 17일 보도자료를 통하여 "10월 16일부터 11월 30일까지 너구리 등 야생동물을 통해 전파되는 광견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광견병 미끼 예방약' 3만 7000개를 시 외곽 지역에 퍼뜨려 157km의 방역대를 만들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광견병 미끼 예방약은 야생동물을 유인하기 위하여 어묵 반죽 안에 예방 백신을 넣은 것으로, 동물이 섭취하게 되면 점막상피를 통해 백신이 흡수되어 면역을 형성시킵니다.
2006년부터 매년 봄, 가을에 야생동물용 광견병 미끼 백신을 퍼뜨린 이후로 현재까지 서울시에서 광견병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퍼뜨리는 위치는 북한산, 도봉산, 수락산, 불암산, 관악산, 용마산, 관악산, 우면산 및 양재천, 탄천, 안양천, 우이천이며, 광견병에 대한 탄탄한 방역대를 만들기 위하여 서울 경계를 따라 50~100m 간격으로 한 지점당 15~20개씩 총 157km에 퍼뜨릴 예정입니다.
그리고, 미끼 예방약이 퍼뜨려진 곳에는 현수막과 경고문을 붙여서 시민 여러분께서 미끼 예방약을 만지지 않도록 안내할 계획입니다. 미끼 예방약을 사람이 만지게 되면 체취가 약에 묻게 되어 야생동물이 섭취하지 않을 수 있으며, 가끔 가려움증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퍼뜨리는 미끼 예방약은 반려동물인 개나 고양이가 섭취하더라도 안전하다고 확인되어 있으나, 정확한 광견병 예방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동물병원에서 반려동물용 광견병 예방백신을 접종받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 : 광견병이란?
광견병(Rabies)은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하는 전염병으로, 주로 동물의 침이나 물림에 의해 전파된다. 주로 야생 동물 및 반려동물에게서 인간에게 전파되며, 치료되지 않으면 사망률이 매우 높은 질병이다. 광견병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원인: 광견병 바이러스는 리비도바이러스속에 속하는 RNA 바이러스로, 주로 동물의 침에 함유되어 있다.
전파 방법: 감염된 동물이 다른 동물이나 사람을 물면 바이러스가 전파된다.
또한, 감염된 동물의 침이 상처나 점막에 접촉할 경우에도 전파될 수 있다.
증상: 초기 증상은 발열, 두통, 일반적인 불쾌감 등이다. 이후 근육 경련, 공포, 활력 소실, 침 흘림, 물을 먹을 수 없는 물공포증 등의 심각한 증상이 발생한다.
진단: 환자의 증상과 물린 동물의 상태를 바탕으로 진단한다. 또한, 특정 진단 키트를 사용하여 바이러스 항원을 확인할 수도 있다.
치료: 광견병은 발병 후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대부분의 경우 사망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물린 직후에는 즉시 의료 기관에 방문해야 한다. 광견병 백신 주사와 면역 글로불린 주사가 주로 사용된다.
예방: 광견병 백신으로 예방 접종을 받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특히 애완동물을 키우는 경우, 정기적으로 예방 접종을 해주어야 한다.
주의사항: 야생 동물을 만지거나 먹이를 주는 것은 피해야 한다. 또한, 알 수 없는 동물에게 물리면 즉시 의료 기관에 방문해야 한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매년 광견병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수만 명에 달한다. 따라서 광견병에 대한 지식과 예방은 매우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