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소 럼피스킨병 이란?

by 석아산 2023. 10. 21.
반응형

소 럼피스킨병 이란?
소 럼피스킨병 이란?

요새 소 럼피스킨병 이 매우 기승을 부리고 있다는데요 ㅠㅠ

평택에서도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먼저 이 소식 전해드리고, 럼피스킨병이란 것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다른 관련 소식을 보고 싶으시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평택에서 발견한 소 럼피스킨병

 

경기도 평택의 한 젖소농가에서도 소의 바이러스성 질병인 ‘럼피스킨병’(Lumpy Skin Disease·이하 LSD) 확진 사례가 발생하였습니다.

 

충남 서산의 한 한우농가의 소들이 지난 20일에 LSD에 확진된 이후 두 번째 발병 사례로 알려졌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기도 김포의 축산농가에서도 LSD 감염 의심 신고가 접수되어 방역 당국이 비상을 걸렀습니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21일 오후 평택의 A농장에서 채취한 시료를 정밀 검사한 결과, 해당 농장의 젖소가 LSD에 확진되었다고 발표하였습니다.

 

한 수의사는 전날 오후 해당 농장에서 식욕부진 증상을 보이는 젖소를 진료한 뒤 “LSD가 의심된다”며 방역 당국에 신고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경기도 가축위생시험소에서 해당 농장에서 키우는 젖소의 시료를 채취하여 1차 검사한 결과 양성 판정이 나왔습니다.

평택시는 즉시 해당 시료를 검역본부로 전송하여 정밀 검사를 의뢰하였고, LSD 확진 소견을 전달받았습니다.

 

평택시의 방역 당국은 해당 농장에서 사육 중인 젖소 92마리를 이날 중에 살처분할 계획입니다.

또한, 평택시는 해당 농장 주변 500m 이내를 관리지역으로 지정하여 방역을 강화하며, 지역 보건소에 모기와 진드기 등 흡혈 해충의 구제 조치를 요청하였습니다.

더불어 10㎞ 이내의 343개 농가에서 사육 중인 소 2만3340마리의 이동을 22일 오후 2시까지 제한하였습니다.

평택시 방역 당국의 관계자는 “현재까지는 A농장 외에 다른 농장에서 추가 의심 신고는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하였습니다.

 

LSD 의심 신고가 접수되어 방역 당국은 경계를 높이고 있습니다.

김포시에 따르면, 젖소와 육우 50여마리를 사육 중인 한 축산농가에서 이날 오전 “젖소 3마리가 고열과 피부 두드러기 증상을 보인다”는 내용의 신고가 접수되었습니다.

김포시 농업기술센터는 해당 농가에 방역소독요원을 배치하여 출입을 통제하며 정밀검사 결과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확진 판정을 받을 경우, 국내에서 세 번째 발병 사례가 됩니다.

 

LSD는 소에서만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모기 등 흡혈 곤충에 의해 주로 전파되며, 감염될 경우 고열과 지름 2∼5㎝의 피부 결절(단단한 혹)이 나타납니다. 폐사율은 10% 이하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발병 시, 소의 우유 생산량이 감소하며, 유산이나 불임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경제적인 피해가 크며, 국내에서는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소 럼피스킨병 이란?
소 럼피스킨병 이란?

소 럼피스킨병 이란?

럼피스킨병(Lumpy Skin Disease, LSD)은 소에게 발병하는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주로 아프리카와 중동 지역에서 발생해 왔으나 최근에는 다른 지역으로도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 질병은 특히 소의 피부에 큰 혹이나 결절을 만들어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원인:

LSD는 LSD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 바이러스는 카포시포 바이러스 족에 속합니다.

 

전파 경로:

모기, 진드기와 같은 흡혈 곤충을 통해 전파됩니다.

직접 접촉을 통한 전파는 흔하지 않지만, 바이러스를 함유한 분비물이나 조직을 통해 간접적으로 전파될 수 있습니다.

 

증상:

초기에는 발열, 무기력, 식욕 부진 등의 전반적인 증상이 나타납니다.

피부에 2~5cm의 지름을 가진 결절이나 혹이 발생하며, 이러한 혹은 굳어지고 때로는 괴사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발병한 소의 우유 생산량이 감소하며, 유산이나 불임과 같은 다양한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단:

증상, 임상 증상 및 특정 진단 검사를 통해 진단됩니다.

치료 및 예방:

현재 특정적인 치료법은 없으나, 증상 완화를 위한 대증 치료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

백신 접종을 통해 예방이 가능하며, 질병의 확산을 막기 위해 전염된 동물의 격리, 흡혈 곤충의 통제 및 방역 조치가 중요합니다.

 

경제적 영향:

LSD는 우유 생산량 감소, 불임, 육질 저하 등으로 인해 축산농가에 큰 경제적 손실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국제적 상황:

LSD는 원래 아프리카에서 주로 발생했으나, 최근 중동, 아시아, 유럽으로 확산되면서 많은 국가에서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방역에 힘쓰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럼피스킨병은 소에게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가져올 수 있는 질병으로, 효과적인 방역 및 관리가 필요합니다.

반응형